민주주의와노동 연구소

노동조합운동과 법률투쟁 – 그 다음 또는 그것과 함께

2012년 1월 13일 서울 양재동 현대차그룹 본사 앞에서 열린 금속노조 집회. '불법파견 정규직화', '노동법 전면재개정'을 요구하고 있다. (출처: 금속노조 신동준)

노동조합운동과 법률투쟁 – 그 다음 또는 그것과 함께 2024년 7월 18일  / 연구자의 시선 글 조연민 연구위원 (변호사) 자본주의 생산관계의 규범적 지지대로서의 노동법 우리가 오늘날 알고 있는 노동법은 자본주의 사회를 지탱하는 규범적 구조물 중 하나다. 인간 행위로서의 노동 그 자체는 인간이 외부세계와 관계맺고 사회를 구성하고 생산활동을 하는 순간부터 존재했으되, 우리가 이야기하려는 노동법은 탈역사적인 노동 일반이 […]

노동조합운동과 법률투쟁 – 그 다음 또는 그것과 함께 Read More »

‘민생회복지원금’이 아니라 대대적인 ‘K-민생’이 필요하다

전국민 25만원 민생회복지원금은 지난 4월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의 대표 정책으로 제시된 이래, 22대 국회 들어서도 이 당의 첫 번째 당론 법안으로 제출되었다. 출처: 한국일보 2024.5.16

‘민생회복지원금’이 아니라 대대적인 ‘K-민생’이 필요하다 2024년 6월 20일  / 연구자의 시선 글 김공회 연구위원 (경상대 경제학과) 현재 우리 경제와 정치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로 ‘민생’을 꼽는 데 주저할 사람이 있을까. 돌이켜보면 애초 이 점을 가장 날카롭게 인지한 사람은 윤석열 대통령이었던 것도 같다. 그가 지난 1월 4일부터 3월 26일까지 무려 스물네 번에 걸쳐 전국 각지를 뛰어다니며 연

‘민생회복지원금’이 아니라 대대적인 ‘K-민생’이 필요하다 Read More »

2000명 숫자 뒤에 놓친 것들, 문제는 여전히 공공의료

보건의료노조 5월14일 결의대회. 출처: 매일노동뉴스

2000명 숫자 뒤에 놓친 것들, 문제는 여전히 공공의료 2024년 5월 23일  / 연구자의 시선 글 김철신 연구위원 (치과의사, 연구위원) 2024년 2월 6일 정부는 현재 3,058명의 의대 정원을 5,058명으로 확대한다고 발표했다. 대통령 윤석열은 2월 1일 민생토론회에서 생명과 지역을 살리는 의료개혁 4대 패키지를 밝혔는데 그 내용은 지역 의료강화, 의료인력확충, 의료사고 안전망구축, 보상체계 공정성 구축이다. 이 4대 패키지

2000명 숫자 뒤에 놓친 것들, 문제는 여전히 공공의료 Read More »

중국에도 노동운동이 있는가?

중국에도 노동운동이 있는가? 2024년 3월 21일  / 연구자의 시선 글 하남석 연구위원 (서울시립대 중국학) 들어가며 중국의 사회성격이나 체제성격에 대해서는 많은 논쟁들이 벌어진다. 일각에서는 중국을 서구 제국주의에 저항하는 사회주의 국가로 규정하기도 하고 또 다른 한편에서는 권위주의적인 국가자본주의 체제라고 칭하기도 한다. 그러다보니 중국 내 여러 사회운동에 대해서 연대의 대상으로 삼는 이들도 있지만 서구 제국주의의 화평연변 전략에 놀아나는

중국에도 노동운동이 있는가? Read More »

노동, 자본, 그리고 불법성

12월 27일 민주노총 전국건설노조 대경건설지부 조합원 수천 명이 대구외국인출입국사무소앞에서 “불법고용이주노동자 단속 촉구! 출입국관리사무소 규탄! 지역민 일자리 사수! 건설노동자 총파업투쟁 결의대회” 를 개최했다.

노동, 자본, 그리고 불법성 :건설 자본, 정부의 노조탄압, 그리고 건설이주노동을 둘러싼 갈등 2024년 2월 22일  / 연구자의 시선글 이소훈 연구위원 (고려대학교 글로벌한국융합학부) 건설산업, 건설노조, 노조탄압, 불법, 건설이주노동, 이주노동자, ‘노노’갈등 고금리와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소식으로 부동산 시장과 건설산업에 찬바람이 부는 가운데 정부가 지난 1월 19일 ‘건설 현장 불법행위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고용주인 건설업체를 대변하는 대한전문건설협회 등을 통해

노동, 자본, 그리고 불법성 Read More »

한국 ‘노인장기요양제도’가 간과하고 있는 것들

한국 노인장기요양제도가 간과하고 있는 것들 :노인 건강과 요양보호사 안전을 위한 ‘사회 공공화’의 길 2024년 1월 25일  / 연구자의 시선글 손미아 연구위원 (강원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노인장기요양제도, 공공성, 민영화, 행위별 수가제, 요양보호사, 노인건강 최근 한국의 노인장기요양제도의 제도개선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정부는 요양보호사들의 재택근무 강화, 요양보호사 1인당 돌보는 노인수 줄이기 등을 논의하고 있고, 노인장기요양기관들의 민간 사업주 단체들은 노인장기요양제도의 실패의 책임을

한국 ‘노인장기요양제도’가 간과하고 있는 것들 Read More »

Social media & sharing icons powered by UltimatelySocial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