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주의와노동 연구소

연구소 소개

거시적 정세에 대한 이론적 개입과 실천을 위하여

: 민주주의와노동연구소 홈페이지 <전망과실천>을 발간하며

2023년 10월3일
권영숙 (민주주의와노동연구소 소장) 

좌절과 희망이 교차하는 시대입니다. 자본주의 지배세력의 한계가 드러나는 한편, 그들이 체제의 한계를 무자비하고 교활하게 넘어서 새로운 지배질서를 구축하려는, 체제전환의 의도도 노골적인 전환기적 정세입니다. 누구는 고양기라고 하고 누구는 퇴조기라고 합니다. 정세 자체에 대한 해석이 매우 혼란스럽습니다. 사회변혁을 위한 주체의 구성과 성격에 대한 시각도 혼란스럽습니다.

이런 때에 좌파적인 관점의, 이론적 실천을 지향하는, 연구자와 활동가들이 함께 하는 연구소의 필요성을 제안했습니다. 그 제안을 많은 이들이 진지하게 경청하고, 몸과 마음을 움직여 주셨습니다. 그리하여 말이 씨가 되어 지난 3월 <민주주의와노동 연구소>를 발족했습니다. 한국 사회에서 넘쳐나는 연구소중에 하나이겠지만, 민주주의와 노동에 대한 좌파적 담론 생산을 목표로 하는 연구소로는 드문 연구소가 될 것입니다.

지금 현재 절실한 목표는, 다른듯 같은 투쟁들의 파상적인 반복이 아닌, 다양한 투쟁과 주체들이 모여서 하나의 반자본주의 전선을 형성하고, 파편화하여 종횡하는 각 부문들이 모여 하나의 주체, 즉 동맹세력이 되는 길을 여는 것입니다. 그 길을 찾는 것입니다.  모순으로 가득찬 체제가 아무리 망가지더라도 결코 망하지 않는 이유는 단 하나, 바로 그것을 접수할 주체가 불분명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길에게 길을 묻는 것은 허망한 일입니다. 길을 만들어야합니다. 주체가 나아가야할 길, 아니 주체를 만들어가는 길을 찾아내고, 닦고, 넓혀내는 과정이 이론적 실천적으로 필요한 때입니다.

<민주주의와노동 연구소>는 사회변화의 성격과 변혁의 주체를 질문하고자 합니다. 그 주체와 정세의 상호 동학을 풍부하게 이론화하고 연구하여 실제의 투쟁과 변화를 위한 근거로 만들어가는데 일조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서 ‘민주주의와 노동’이라는 거시적인 주제를 정치경제학비판의 관점에서 탐색하고 연구하고자 합니다.

그리고 오늘 10월3일 개천절에 드디어 연구소 홈페이지와 <전망과 실천>이라는 웹진을 함께 세상에 내놓습니다. 좌파 담론의 구성을 위한 연구 성과와 이론적 쟁점들을 적극 기획하고 스스로 집필하여 올리되, 구체적인 정세에 대한 구체적인 개입을 위해 어느 정도 대중적으로 읽힐 수 있는 웹진을 지향하려고 합니다.

전체 및 국내를 향한 ‘이슈 리포트’를 통해 중요하고 혼란스러운 노동 및 정치경제적 쟁점에 대한 좌파적 관점을 지향하는 분석적인 글을 싣고, 연구보고서와 “권영숙 컬럼”과 “연구자의 시선”으로 깊이를 더할 것입니다.  또한 민주주의노동연구소 웹진은 특히 노동자 국제주의를 강조하고 복원시키려고 합니다. 발빠른 팩트 리포팅과 맥락적 해석까지 더한 “국제 노동/운동 동향”을 정규적으로 싣고, 별도로 주요한 전지구 정치경제학적, 지정학적 동향을 관점을 가지고 분석하는 ‘글로벌 리포트’를 배치합니다. 나아가 “Review and Preview”를 통해서 해외의 좋은 논문, 단행본 및 글들(articles)을 소개하거나 리뷰하는 고정란을 준비했습니다. 또 “오늘의 차트 Chart of the Day”를 통해서 전세계에서 중요한 현상을 수와 차트를 통해서 읽어내는 란을 준비하였고, “ON the Edge” “한마디의 세상 Words of the World”도 낼 예정입니다.

민주주의와노동연구소의 홈페이지와 웹진 <전망과 실천>은 때로는 국내 언론보다 더 발빠르게 사실과 사건들을 드러내면서 동시에 깊이있는 계급적 시각으로 분석한 글들로 채워질 것입니다. 모든 글들은 가능하면 연구소의 역량으로 집필할 것입니다. 시간과 노력을 들여 최선을 다해 준비할 것입니다. 독자 여러분께서 많은 관심으로 읽고, 웹진 <전망과 실천>을 구독하고, 세상에 널리 이 시각을 알려주시길 바랍니다.

이 공간을 통해서 이론적 실천의 무기를 들고, 노동이 조직노동 너머 사회적 노동으로, 좌파가 철학의 빈곤과 대안의 무능함을 떨치고 더 넓고 깊은 정치적 좌파로 나아갈 수 있도록 애써보겠습니다.

연구소를 발족하며

모든 이들에게,

무엇인가 새로운 일을, 그것도 ‘거창하게’ 보여질법한 (그러나 아직 현실화되지 않아 그 결과가 매우 미확정적인) 이름과 명분을 걸고 시작할 때, 기대도 크고 걱정도 많습니다. 과연 우리는 누구이고, 그것을 해낼 수 있을까하는. 이런 때 많은 이들의 십시일반 도움 그리고 전달되는 마음과 의지가 무언의 격려가 되고, 실제적인 도움이 됩니다. 여러분이 함께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민주주의와노동 연구소>를 발족하면서 제가 바라는 바는 다음과 같습니다.

연구소 학습모임과 연구 실천활동을 위한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공간이 있으면 좋겠어요.

연구소에 연구만을 하는 상근 연구자도 있었으면 좋겠어요.

그래야 이 땅의 변혁과 계급적 노동운동을 위한 양질의 연구 결과를 지속적으로 낼 수 있겠죠.

연구소로서 삼은 역할을 흔들리지 말고 잘할 것을 기대하고 격려하고, 재정 후원 해주시고, 토론회등 행사에 많이 참여해주시고, 체계적인 학습모임에도 같이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여러 사업 제안도 좋습니다. 필요한 연구 조사를 의뢰해주셔도 가능하면 수용하겠습니다. 돈벌이가 목표는 아니어야 합니다. 계급적 관점에서 좌파적 시각에서 필요한 연구조사는 노조운동과 노동운동이 변혁운동으로 나아가는 데 중요한 기초가 될 것입니다.

<민주주의와노동 연구소>는 아마 세상의 많은 연구소들 중 하나일 것입니다. 한국사회에서 넘쳐나는 연구소중에 하나일 것입니다. 그러나 민주주의와 노동에 대한 좌파적 담론 생산을 목표로 하는 연구소로는 드문 연구소가 될 것입니다. 계급적 관점에서, 노동운동에 필요한 연구 성과로 복무하는, 이론적 실천을 하려고 합니다. 제가 청년기 학생운동부터 지금까지 중요하게 머리에 새기고 가슴에 품고 손발로 실천하려는 모토가 “구체적인 정세에 구체적인 개입”입니다.

맑스가 말했듯이 철학은 세상을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변혁해야합니다. 하지만 변혁은 구체적인 정세에 구체적인 개입으로서만 나타납니다. 그리고 정세 진단은 정치적 세계관과 단단한 이론의 골조 위에서 가능합니다. 정세론이 모든 것의 총화인 이유입니다. 정세에 대한 분석에서 세계관, 이론적 당파성, 그리고 현실 파악의 구체성이 다 드러납니다. 정확한 정세를 진단할 때 우리는 정확한 실천으로 구체적인 현실에 개입할 수 있습니다. 정세와 실천에서 이론적 능력과 실천, 그리고 이념적 방향, 즉 당파성 양자가 균등하게 중요한 이유입니다.

이론과 이념이 부재한 운동은 방향을 상실하고 동요하기 십상입니다. 외국의 것을 발빠르게 번역하여 낸다고, 혹은 19세기로 돌아가서 맑스만 읖조린다고, 20세기 초로 돌아가서 레닌과 룩셈부르크만 읊조린다고 해서 이론과 이념이 곧바로 구체적인 정세에 대한 구체적 개입을 위한 무기가 되지 않습니다. 그건 생경하고 구체성이 없는 이론의, 현실에 대해 겉도는 개입일 뿐입니다.

지금 맑스를 현재화하자 혹은 21세기 맑스를 만들자는 말이 아닙니다. 지금은 첫째, 이론과 현실을 정확하고 풍부하게 이해하여 연결하고, 둘째, 구체적인 정세에 대한 구체적인 진단과 분석을 가능하게 만드는 이론과 학습, 그리고 연구가 필요합니다. 나아가 셋째, 변화하는 자본주의 정치경제적 현실에 대한 예민하고 적극적인 해석과 이론화도 필요합니다. 변화하는 현실에 대한 이해와 인정은 다른 문제입니다. 이것이 지금 세상의 변혁을 모색하는 이들에게 필요한 이론적 자세와 이론에 대한 자세라고 봅니다.

이런 생각을 구체적으로 실천하고 이론적으로 도모하는 하나의 소박한 공간으로서 <민주주의와노동 연구소>를 창립하려고 합니다. 이 공간을 통해서 이론적 실천의 무기를 들고, 노동이 조직노동 너머 사회적 노동으로, 좌파가 철학의 빈곤과 대안의 무능함을 떨치고 더 넓고 깊은 정치적 좌파로 나아갈 수 있도록 애써보겠습니다.

권영숙 제안자

창립 취지

* <민주주의와노동 연구소>는;

‘민주주의와 노동‘이라는 주제를 정치경제학비판의 관점에서 이론적 실천적으로

탐색하고 연구하기 위해 출범합니다.

근대 이후 자본주의의 발전과 정치체제의 혁명 혹은 이행은 노동과 민주주의의 관계 맺음과 동학을 중심으로 일어났습니다. 21세기의 오늘날에도 한국사회와 전 지구적 변혁과 전환을 상상하고 실천하는 데 있어, 민주주의와 노동의 관계는 결정적인 이론적 정치적 화두입니다.

* <민주주의와노동 연구소>는;

연구자와 활동가들이 함께 연구집단을 구성하여,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연구 활동을 할 예정입니다.

– 이론과 실천의 일치 혹은 이론적 실천

– 우경화되는 담론지형 속에서 좌파적 담론의 형성과 개입

– 노동운동에 필요한 개념, 정책, 이슈 등 연구 생산을 통한 기여

* <민주주의와노동 연구소>는;

다음의 3개 주제를 핵심 연구로 삼을 예정입니다.

– 민주주의와 노동

– 정치경제학 비판

– 법과 정치

연구 활동에 항상 다음 경구를 새기도록 하겠습니다.

“모든 이론은 회색이요, 오직 영원한 것은 저 푸르른 생명의 나무, 실천이다!”

<민주주의와노동 연구소>의 발족에 많은 관심과 격려를 부탁합니다.

지속적인 관심, 의미있는 참여, 뜨거운 후원을 기대합니다.


연구위원회

권영숙 연구소 소장 (사회학)
김공회 연구위원(경상대 경제학), 김철신 (의사, 예방의학), 손미아 연구위원(강원대 보건의학), 이상협 연구위원(인제대 정치학), 이소훈 (고려대 국제대), 이호중 연구위원 (서강대 법학), 조연민 연구위원 (공공운수노조 법률원), 정규식 연구위원( 성공회대 사회학), 하남석 연구위원 (서울시립대 중국학)

Social media & sharing icons powered by UltimatelySocial
Scroll to Top